회원가입
회원가입을 위해서 아래의 전라남도 공간정보참여마당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을 읽어 보시고 동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 방식
전라남도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다음의 정보는 자동적으로 수집ㆍ저장됩니다.
- 이용자 여러분의 인터넷서버 도메인과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를 방문할 때 거친 웹사이트의 주소
- 이용자의 브라우져 종류 및 OS
- 방문일시 등
위와 같이 자동 수집ㆍ저장되는 정보는 이용자 여러분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의 개선과 보완을 위한 통계분석, 이용자와 웹사이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을 위해 이용되어질 것입니다. 다만, 법령의 규정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제출하게 되어 있을 경우도 있다는 것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우편, 전화 또는 온라인 전자서식 등을 통한 전자적 방법을 통해 의사를 표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의 선택에 있어 몇 가지 유의사항을 알려 드립니다.
- 여러분이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에 기재한 사항은 다른 사람들이 조회 또는 열람할 수도 있습니다.
- 여러분이 기재한 사항은 관련 법규에 근거하여 필요한 다른 사람과 공유될 수 있으며, 관련법령의 시행과 정책개발의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또한, 이러한 정보는 타 기관과 공유되거나, 필요에 의하여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사이트 보안을 위해 관리적ㆍ기술적 노력을 하고 있으나, 만약의 침해사고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민감한 정보의 기재는 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라남도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고도 많은 컨텐츠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나, 블로그 글쓰기, 퍼가기·신고 등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회원가입을 통한 수집항목은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동전화, 이메일주소 등이며, 글쓰기, 회원 가입을 통해 블로그 글쓰기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수집된 개인정보는 정보제공메일 송신, 민원처리, 각종 통계, 행사 홍보 등 목적을 위해 활용됩니다.
- 회원 개인정보는 사이트를 통한 회원가입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됩니다.
- 전라남도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예외 없이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 합니다.
사이트의 보안 또는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통제(Monitor)는 물론 불법적으로 정보를 변경하는 등의 시도를 탐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가 운영하는 여러 웹페이지에 포함된 링크 또는 배너를 클릭하여 다른 사이트 또는웹페이지로 옮겨갈 경우 개인정보보호방침은 그 사이트 운영기관이 게시한 방침이 적용됨으로 새로 방문한 사이트의 방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라남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서 이메일 주소 등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를 취득하여서는 아니됩니다. 부정한 방법으로 이러한 개인정보를 열람 또는 제공받은 자는 [공공기관의개인 정보보호에관한법률] 제23조의 규정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 참여마당 서비스 이용 중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 등 정보주체의 권익이 침해될 우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을 경우는 다음의 연락처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보호책임관 방형남
- 이 메 일 : banghn@korea.kr
- 전화번호 : 061)286-2710/ Fax : 061)286-4741
- 주 소 : )534-700 전남 무안군 삼향면 오룡길 1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적대봉은 높이 592m로 고흥군 금산면(錦山面) 거금도(居金島)에 솟아 있는 마치 바다에 떠 있는 고래등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산이다. 섬안에 큰 금맥이 뻗어 있어 거금도라 불린다는 이 섬은 조선중기의 문헌에는 거억금도(巨億今島)라고 기록되어 있다.
섬 산이면서도 고흥군에서는 팔영산(608.6m) 다음으로 높으며 펑퍼짐한 산세와 달리 전망이 매우 뛰어난 산이다. 적대봉은 북쪽으로 천등산 마복산, 서쪽으로는 장흥 천관산(723m)과 마주보고 있는데 정상에 서면 서쪽으로 완도, 남쪽으로 거문도, 동쪽으로 여수 일원의 바다와 섬들이 한눈에 들어올 뿐만 아니라 날씨가 좋으면 멀리 제주도가 바라보일 정도로 전망이 좋다.
이러한 지형적인 특성 때문에 적대봉 정상은 조선시대 왜적의 침입 등 비상사태를 신속하게 전달해주는 봉수대로서 큰 역할을 해왔다. 남한에서 거의 유일한 원형 봉수대로 알려져 있는 적대봉 봉수대는 둘레 약 34m, 직경 약 7m로 경남의 남대천 봉수대(지방문화재 제147호)와 거의 비슷한 규모다.
적대봉 기슭은 조선 때 목장성(牧場城)이 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소록도, 절이도, 시산도, 나로도와 함께 도양(道陽)목장에 속한 속장(屬場)의 하나였던 거금도는 옛 이름이 절이도(折爾島)로 적대봉을 중심으로 30리 길이의 성을 쌓아 말 116마리를 키웠던 세납(稅納)목장으로 전한다.
거금도의 남북을 종단하여 석정리와 어전리를 잇는 임도 곳곳에 목장성 흔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적대봉 일원은 예전 수림이 울창했던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금은 해안가의 방풍림만이 옛모습을 겨우 떠올릴 수 있게 하지만 옛 문헌에 의하면 거금도는 조선시대 사복시(司僕侍)에 속한 둔전(屯田)과 왕대산지가 있었고, 선재(船材)의 확보를 위해 벌채를 금지했을 정도로 질 좋은 나무가 많이 자랐던 곳으로 유명하다.
규모
- 해발 592.2m
등산코스
- 제1코스(1시간40분) : 파성재(주차장) ▶ 마당목치 ▶ 적대봉 ▶ 마당목치 ▶ 파성재(주차장)
- 제2코스 (1시간30분) : 파성재(주차장) ▶ 마당목치 ▶ 적대봉 ▶ 마당목치 ▶ 서촌마을
- 제3코스 (5시간) : 성치마을 ▶ 파성재 ▶ 적대봉 ▶ 파상재 ▶ 송광암 ▶ 중촌마을
마복산은 높이 535m로 말이 엎드려 있는 형상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해창벌에서 바라보면 동서로 길게 뻗어 평범하게 느껴지지만 파고들면 생각지도 못했던 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고 만다. 산등성이에는 수많은 지릉이 흘러내리고 그 지릉마다 바위꽃이 활짝피어 있어 마치 금강산이나 설악산의 축소판을 보는 듯 하다. 물개바위, 거북바위 등 기암괴석이 많다. 이러한 경관 때문에 마복산은 소개골산(小皆骨山)이라 불리기도 한다.
마복산이 지닌 또 하나의 자랑거리는 다도해 전경이다. 산 남쪽에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아름다운 곳, 산등성이에 올라 푸른바다 위를 떠다니는 듯한 올망졸망한 섬들, 부드러운 선으로 이어지는 해안선과 그 사이사이 들어앉은 포구를 바라 보노라면 보는 이마저도 바다에 떠있는 듯한 느낌에 사로잡히고 만다.
마복산은 규모가 작아 산행하고자 찾기에는 아쉬운 산이다. 따라서 포두면 일대의 관광을 겸해 들어서는 것이 현명할 듯 싶다. 포두면 일대의 해안도로를 따라 드라이브 하다 마음에 드는 포구마을에서 오후 한나절을 보내는 것도 의미 있는 여행이 될 듯 싶다. 해창만 방조제를 따라 이어지는 도로를 따르다 보면 개펄과 포구, 남해바다의 풍광을 제대로 맛볼 수 있을 것이다.
규모
해발 535m
제1코스 (4시간40분)
마복사입구 ▶ 마복사 갈림길 ▶ 마복산 ▶ 회재 ▶ 마복사 갈림길 ▶ 내산마을 ▶ 내산 마을회관
<마복산 지명 유래>
조선 후기 영조(33년) 편찬한 여지도서에는 현 마복산이 마북산(馬北山)으로 표기 되어 있다. 1917년
일제치하 측량 당시 마북산에서 마복산으로 표기가 정정되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에는 현재 마복산
으로 표기 되어 지금까지 마복산으로 명명되고 있다.
?
<여지도서>
?
?
운암산은 높이 487m로 두원면과 포두면의 경계에 있다. 산이 높이 솟아 구름같은 기운이 산을 감싸고 있다 하여 운암산이라 부르며 포근한 느낌을 주는 어머니 품같은 산이다.
사람들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는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골짜기에는 많은 전설들이 있으며 정상 부근의 빼어난 봉우리들이 줄지어 서있는 모습과 산길 옆 저수지의 에메랄드 빛 초록색의 향연, 깊은 계곡들 그리고 수목들이 가슴벅찬 아름다운을 느끼게 한다.
옛 흥양지에는 흥양현 북쪽 15리에 이 산이 있고 산에는 죽사(竹寺), 은석사(隱寂寺), 중흥사(中興寺)가 이어져 내려왔었으며 용은사(龍隱寺)라는 말사(末寺)도 있었다고 한다.
금석병용시대의 동검, 동추 등이 발굴된 이 산에 현재는 수도암만이 있고 산꼭대기에는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이 있다.
조선말기 총리대신을 지낸 김홍집이 흥양현감으로 재임시 이곳 운암산에 올라 기우제를 올린 사실이 기우제문과 함께 전한다.
고산자 김정호 선생의 대동여지도에는 운암산(雲岩山)으로 표시되어 있고 고흥 향토기록에는 이 산을 일명 모악산(母岳山)으로도 부른다고 하였다.
등산코스
- 제1코스 (1시간30분) : 운곡마을 ▶ 갈림길 ▶ 수도암 ▶ 운암산
- 제2코스 (2시간20분) : 공설운동장 ▶ 중섯재 ▶ 갈림길 ▶ 수도암
소재지 : 고흥군 포두면 송산리 산176
연락처 : 061-830-5421
고흥읍에서 동쪽으로 25Km 떨어진 소백산맥의 맨 끝부분에 위치한 팔영산은
1봉 유영봉(491m), 2봉 성주봉(538m), 3봉 생황봉(564m), 4봉 사자봉(578m), 5봉 오로봉(579m), 6봉 두류봉(596m), 7봉 칠성봉(598m), 8봉 적취봉(608m) 으로 여덟 봉우리가 남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솟아 있어, 팔봉산, 팔령산, 팔전산 등으로도 불리웠다.
또한, 옛날 중국의 위왕이 세수를 하다가 대야에 비친 여덟 봉우리에 감탄하여 신하들에게 찾게 하였으나 중국에서는 찾을 수 없어 우리나라까지 오게 되었는데, 왕이 몸소 이 산을 찾아와 제를 올리고 팔영산이라 이름지었다는 전실이 서려 있는 곳이기도 하다.
<팔영산 지명 유래>
팔영산의 영자와 관련 고전자료에는 다양한 설명이 되어 있다. 현재는 그림자 影으로 표기 되어 있으나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신령할 靈으로 표기되어 과거 신령한 산으로도 명명되었고 1872년 흥양현 지도에는 팔전산(八田山)으로
표기되어 있어 팔영산 지명과 관련 다양한 지명이 전해지고 있다.
<1872년 흥양현 지도> <대동여지도>
팔영산은 고고한 자태를 뽐내며 산세가 험준하고 기암 괴석이 많아 전남에서 보기 드물게 스릴 넘치는 산행을 즐길수 있으며, 산자락 아래 징검다리 처럼 솟은 섬들과 저 멀리 대마도까지 조망되는 등 눈앞에 펼쳐지는 다도해 풍광이 넋을 잃을 정도로 아름다우며 능가사와 신선대 등 관광명소가 많다.
▶ 등산코드
○ 제1코스(4시간 30분) : 능가사 ⇒ 흔들바위 ⇒ 1봉 유영봉(491m) ⇒ 2봉 성주봉(538m) ⇒ 3봉 생황봉(564m) ⇒ 4봉 사자봉(578m) ⇒ 5봉 오로봉(579m) ⇒ 6봉 두류봉(596m) ⇒ 7봉 칠성봉(598m) ⇒ 8봉 적취봉(608m) ⇒ 탑재 ⇒ 능가사
○ 제2코스(5시간 분) : 곡강마을 ⇒ 선녀봉 ⇒ 2봉 성주봉(538m) ⇒ 3봉 생황봉(564m) ⇒ 4봉 사자봉(578m) ⇒ 5봉 오로봉(579m) ⇒ 6봉 두류봉(596m) ⇒ 7봉 칠성봉(598m) ⇒ 8봉 적취봉(608m) ⇒ 탑재 ⇒ 능가사
○ 제3코스(4시간) : 영남초교 ⇒ 깃대봉 ⇒ 8봉 적취봉(608m) ⇒ 7봉 칠성봉(598m) ⇒ 6봉 두류봉(596m) ⇒ 5봉 오로봉(579m) ⇒ 4봉 사자봉(578m) ⇒ 3봉 생황봉(564m) ⇒ 2봉 성주봉(538m) ⇒ 1봉 유영봉(491m) ⇒ 흔들바위 ⇒ 능가사
소재지 : 고흥군 점암면 팔봉길 19-51
연락처 : 061-835-7828
?
▶ 위치 및 경관 : 인의산은 법성면 중앙에 위치하여 법성리, 진내리를 품고 있으며 비교적 낮은 산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산책을 즐길 수 있는 능선이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인의산 옛길 복원화 사업으로 완성된 둘레길을 따라 산행을 하면 법성포는 물론 고창 공음면, 영광읍, 백수읍, 홍농읍과 서해바다가 한눈에 들어와 가슴이 확 트이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 법성 인의산은 그늘이 많아 여름산행의 맛이 일품이다.
▶ 등산안내
◎ 인의산은 예로부터 ‘고창과 장성으로 뻗은 노령의 대맥을 외면한 채 고고히 서 있을 뿐이라고’ 불려 노령의 대맥을 외면한 산이라 전한다. 인의산(仁義山)은 법성포의 뒷산이고 대덕산(大德山)은 앞산이다. 인의가 공자의 가르침이라면 대덕은 석가의 가르침이 아니겠는가?! 이 두 산명인 인의와 대덕은 법성의 상징으로써 법성인의 마음속에 자리 잡아 왔다.
◎ 산행코스 : 4. 1㎞(1시간 30분)
*등산로 입구 → 충혼탑 → 동녕재 갈림길 → 안암금매 갈림길 → 금매 갈림길 → 숲쟁이 갈림길 → 천북치 → 인의봉 → 체육공원 → 인의봉 → 천북치 → 충혼탑 → 면사무소 뒷길
영광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성군 삼계면과 삼서면 경계를 이루는 영광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정상에 오르면 서쪽으로는 대마면과 묘량면의 평야 및 구릉지 너머로 영광읍이 내려다보이고 멀리 백수와 홍농 앞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져 있으며, 북으로는 월랑산줄기 너머로 대마면 소재지를 지나는 지방도 816호선과 그 뒤로 국도 23호선이 실날처럼 이어진다.
동으로는 장성 방면의 부드러운 산릉 너머 멀리 담양의 높고 낮은 산들이 가물거리고 멀리로는 광주 무등산도 시야에 와 닿는다.
남으로는 삼서면 학성리 분지에서 광주시에서 이전해온 상무대가 자리하고 있으며, 남서 방면으로 장암산을 지나 함평방면으로 이어지는 불갑산 줄기가 뚜렷하게 다가온다.
대마면 소재지에서 남쪽으
대마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2km 군도를 달리다 보면 구천마을에 이르게 되고 왼쪽으로 농로를 따라 가면 남산제 끝을 돌아 상평마을에 이른다.
마을 위로 난 길을 오르면 첫 삼거리가 나타나고 여기서 왼쪽길로 들어서다 갈림길 에서 위쪽으로 접어들면 몰치입구 산림도로에 이르게 되는데 산 정상으로 바로 오르려 면 삼거리에서 오른쪽 길을 택해야 한다.
오른쪽으로 접어들어 500m쯤 가면 다시 삼거리가 나타나고 여기서 왼쪽길로 들어서면 편백나무 지대가 나타나는데 이 편백나무 지대를 가로질러 100m를 진행하면 임도와 만나고 이 임도에서부터 본격적인 산행 코스로 접어든다 할 수 있다.
여기서 700m를 오르면 주 능선 헬기장에 다다르게 되며 오른쪽으로 정상까지는 350m의 거리다.
하산길은 정상에서 남서쪽으로 20m 거리에 바위 사이로 목장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으며 산죽군락의 가파른 길을 내려가면 다시 임도에 이르게 되고 이 임도에서 산에 오를 때의 등산로 임도까지는 500m 거리다.
시간 여유가 있을 때에는 상평마을 위 처음 삼거리에서 왼쪽 길로 몰치를 거쳐 능선을 따라 정상으로 가는 길을 택할 수 있으며, 태청산 종주코스로는 월산리 금산마을 위 채석장에서부터 임도가 이어지는데 일반 승용차로 오르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지프형 승용차를 이용하여 군감뫼에서 내려 왼쪽 산릉을 따라 작은 몰치와 몰치를 거쳐 주 능선에 오르면 오른쪽으로 태청산 정상이 눈에 들어온다.
정상에 올라 시원스레 펼쳐진 들과 바다를 조망한 후 남서쪽 능선으로 하산하여 마치에 이르러 아래로 난 길로 내려서면 임도에 닿고 임도를 따라 거슬러 가면 군감뫼로 되돌아 갈 수 있으나 임도를 따라 걷는 구간이 너무 지루한 느낌이 든다. 임도를 거슬러 가지 않고 바로 내려가면 삼효리 영마제로 내려가는 길이 있지만 처음 길로 돌아가는 길이 아니라서 차량운행에 불편이 따른다
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전화번호 061-659-1760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에 있는 산으로 낭도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낭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산 중앙의 중심으로 경사가 매우 가파르다. 과거에는 주변 상황을 봉수로 알리던 요망소가 있었고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측량을 하며 남겨놓은 십자 표시가 지금도 남아 있다. 낭도산 중턱에는 바다너머 줄지어 서서 사도를 바라보는 소나무가 있다. 이 소나무는 500년이 넘었다는데 마치 바다를 향해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듯하다. 산 정상의 봉화대는 그 흔적만 남아 돌무더기만 유적지로 남아 있다. 봉화대는 고흥 팔영산 정상의 봉화대에서 신호를 받아, 화양면 장수리 봉화대로 신호를 보내, 여수 종고산 봉화대로 연결되며 왜군의 출몰을 알리기 위해 세운 것이라고 한다. 낭도산은 주로 동백수림을 비롯한 활엽수림이 있으며, 산 아래로 여산 마을과 방파제가 내려다보이며 더불어 파도가 시원하게 부서지는 모습이 운치 있는 경관을 만들어 낸다.
■ 정상
![]() |
(우58564)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오룡길 1 전라남도 토지관리과 TEL 061-286-7645 |